티스토리 뷰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2023년에 접어들면서 변화하는 각종 제도 중에서 국민취업지원제도 조건 및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을 자세히 살펴보고 또한 달라진 점에 대해서도 살펴보려고 합니다.

무엇보다도, 청년층의 취업문제는 시대가 변해도 중요한 관심사가 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된 제도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그리고 달라진 점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 조건과 달라진 점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신청조건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이러한,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장기구직자, 경단여성, 청년 등 고용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을 위해서 마련되어진 제도로써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민취업지원제도는 취업지원이나 소득지원을 함께 제공함하는 정책이라고 보시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살펴보면, 유형별로 지원 조건이 조금씩 달라지는 걸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즉, 1유형의 경우에는 요건심사형은 연령이 15세에서 69세 이하여야 하고, 소득은 중위소득 60%이하에, 재산은 4억원 이하로 적용이 됩니다.

이경우, 청년은 재산기준이 5억원 이하이고, 취업경험은 2년 이내 100 이상이어야 한다는 점 참고하세요.

여기서, 국민취업지원제도 1유형의 선발형을 한번 보겠습니다.

즉, 비경활은 연령이 15~69세, 소득이 중위소득 60%이하, 재산은 4억원이하, 취업경험이 2년 이내 100일 미만으로 적용이 됩니다.

또한, 청년의 경우에는 연령은 18~34세이며, 소득은 중위소득 120%이하, 재산은 5억원이하, 취업경험은 무관하다고 합니다.

그럼, 국민취업지원제도 2유형의 조건은 연령은 15세에서 69세이하이며, 소득은 중위소득 100%이하이지만, 청년은 무관하다고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경우의 재산과 취업경험은 무관하니, 참고하세요.

지원내용

지금부터는 국민취업지원제도의 지원내용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지원내용을 살펴보면 맞춤형 취업지원서비스와 소득지원이 함께 지원됩니다.

이러한, 취업지원서비스의 경우에는 심층상담을 토대로 참여자별로 구직의욕과 능력을 파악해서 1년간 맞춤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점 참고하세요.

물론, 소득지원의 경우에는 중위소득 60% 이하 저소득층 등에게 생계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수당을 지원해주고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청년구직활동지원금과 같은 것으로, 매달 구직활동의무 이행시 월 50만원에서 90만원씩 6개월간 지원이 되고 있으므로 참고하세요.

그리고, 지원내용의 세부적인 건 사진을 통해서 확인해보세요.

 

 

청년구직활동지원금 변경된 점

그럼 지금부터는 국민취업지원제도와 더불어서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의 달라진 점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이경우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가 있습니다.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이를테면, 구직촉진수당 보장성 강화와 조기취업성공수당 확대, 그리고 일경험프로그램 개편이 이에 해당이 된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그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청년구직활동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첫번째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인 구직촉진수당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즉,2022년에는 월 50만원을 6개월간 지급했다면, 2023년에는 추가로 부양가족 1인당 10만원씩으로 월 최대 40만원이 추가 지원이 된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이러한 경우에 생계부담을 더 줄이며, 취업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니, 일석이조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2. 조기취업성공수당 확대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두번째는 조기취업성공수당 확대를 살펴보겠습니다.

즉, 2022년에는 1유형 수급자가 취업활동계획을 수립 후에 2개월 이내 취업하면 50만원을 지급했지만, 2023년에는 3개월 이내 취업시에도 지급이 되는 점이 변동이 되었습니다.

다시 정리를 하면, 1유형은 잔여 구직촉진수당의 50%을 지급하고, 2유형은 조건부수급자로 50만원이 지급된다는 걸 확인 할 수가 있습니다.

3. 일경험프로그램 개편

세번째는 일경험프로그램이 개편의 변동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첫번째는 훈련연계형 중심으로 운영이 되는 것으로, 직무수행과 직무교육을 중심으로 운영하면서, 기업규모에 따라서 교육프로그램을 일정 비율로 운영합니다.

그러므로, 참여자는 직무 맞춤 교육과 함께 실제업무를 경험하는 것입니다.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두번째는 참여기업 요건이 강화된다는 걸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즉, 2022년에는 피보험자수 5인 이상이어야 했지만, 2023년에는 10인 이상 기업만 일경험에 참여할 수가 있다는 걸 참고하시면 됩니다.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
국민청년 취업지원금